컨테이너화는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과 배포의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어플리케이션 개발과 운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배포 과정을 간소화하기 위해 도커(Docker)는 점차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도커란 무엇인지, 도커의 장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어플리케이션 배포를 단순화하는 과정에 대해서 간략하게 다뤄보겠습니다.
1. 도커란 무엇인가
도커는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플랫폼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운영체제 수준에서 가상화를 수행하며, 호스트 시스템과는 분리된 독립적인 실행환경을 제공합니다. 도커를 사용하면 어플리케이션과 그에 필요한 모든 종속성을 포함하는 독립적인 패키지인 '도커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도커 공식 홈페이지를 참조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2. 도커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2.1 환경 일관성과 이식성
도커는 어플리케이션과 그 실행 환경을 패키지로 만들기 때문에, 이식성이 뛰어납니다. 어플리케이션을 도커 이미지로 만들면 다른 환경에서도 동일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호스트 시스템의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2.2 경량성과 빠른 시작 시간
도커는 가볍고 빠르게 시작시킬 수 있습니다. 각각의 도커 컨테이너는 호스트 시스템의 리소스를 공유하여 실행되므로, 가상화된 환경을 생성하는데 드는 비용, 시간이 적습니다.
2.3 확장성과 유연성
도커는 수평적 확장이 용이하며, 필요에 따라 컨테이너의 개수를 쉽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에 따라 리소스 사용을 조정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3. 도커를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배포 단순화
도커를 사용하면 어플리케이션 배포 과정을 효율적으로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도커를 활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과정입니다.
3.1 도커 이미지 빌드하기
도커 이미지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모든 종속성과 설정을 포함하는 패키지입니다. 도커 이미지를 빌드하기 위해서는 도커 파일(Dockerfile)을 작성하고, 필요한 패키지와 설정을 정의해야 합니다. 이후 도커 명령어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빌드합니다.
3.2 도커 컨테이너 실행하기
도커 이미지를 빌드한 후, 해당 이미지를 실행하여 컨테이너를 생성합니다. 컨테이너는 도커 이미지를 실행한 인스턴스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컨테이너를 실행하기 위해 도커 명령어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포트 매핑과 환경 변수 설정 등을 수행합니다.
3.3 컨테이너 관리하기
도커는 컨테이너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경우 컨테이너를 중지하거나 재시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함께 실행하고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도커 컴포즈(Docker Compose)'를 사용하여 복잡한 어플리케이션 스택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도커는 현대의 어플리케이션 배포를 단순화하고 효율화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컨테이너 기반의 가상화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환경 일관성과 이식성을 높일 수 있으며, 경량성과 확장성을 통해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커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과정은 간단하고 효율적입니다. 도커 이미지를 빌드하고 컨테이너를 실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독립적으로 실행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추가
1. 도커 컨테이너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의 차이점
도커 컨테이너는 호스트 시스템의 운영체제를 공유하며 가상화를 수행하는 반면, 가상 머신은 호스트 시스템 위에 완전히 독립된 운영체제를 가지고 독립적으로 실행됩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가상OS를 설치하냐 마냐의 차이입니다. 도커는 게스트OS를 설치하지 않아 더 가볍습니다.
2.도커 이미지와 도커 컨테이너의 관계
도커 이미지는 도커 컨테이너의 기반으로 사용되며, 도커 컨테이너는 도커 이미지의 인스턴스입니다. 나중에 다루게될 AWS에 비유하자면 AWS EC2의 AMI가 도커 이미지, 도커 컨테이너는 그 AMI를 기반으로 실행된 인스턴스의 관계가 됩니다.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컴퓨팅:AWS (소개, 핵심 서비스, 사용 사례) (0) | 2023.07.11 |
---|---|
Kubernetes를 활용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소개, 주요기능, 활용 사례) (0) | 2023.07.10 |
IaC(Infrastructure as Code): Iac란 무엇인가, DevOps에서의 IaC 활용 (0) | 2023.07.07 |
버전 관리 시스템: Git (Git 소개, 기본 개념, 주요 기능) (0) | 2023.07.06 |
연속적인 통합과 배포(CI/CD) 이해하기(CI/CD 파이프라인의 원칙과 구성 및 소프트웨어 개발에 미치는 영향) (0) | 2023.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