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

리눅스 네트워크 관리 (TCP/IP, 서브넷팅, 방화벽, 보안그룹, 네트워크 서비스) 네트워크 관리는 기업의 IT 인프라 운영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네트워크 관리에 필요한 기본 개념과 프로토콜, IP 주소 및 서브넷팅, 방화벽 설정 및 보안 그룹 관리, 네트워크 서비스 설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 기본 개념 및 프로토콜 (TCP/IP) TCP/IP의 정의 및 작동 원리 TCP/IP는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 통신의 기본 프로토콜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패킷으로 분할하고, 이 패킷들을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며, 수신 측에서는 이 패킷들을 다시 조립하여 원래의 메시지를 복원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TCP/IP의 주요 구성요소 TCP/IP는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인터넷.. 2023. 7. 25.
테라폼을 통한 인프라스트럭처 모듈화 (모듈화 소개, 구조, 활용 사례) 모듈화는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오래전부터 주요한 개념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이 개념이 넓게 보면 인프라스트럭처의 세계로까지 확장되었습니다. 특히 테라폼을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모듈화를 더욱 강력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테라폼을 이용해 인프라스트럭처를 어떻게 모듈화하는지 알아봅시다. 인프라의 모듈화란 무엇인가? 인프라스트럭처 모듈화는 기술과 서비스를 작은 모듈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스템 전체를 하나의 큰 덩어리로 운영하는 대신, 작은 모듈로 나누어 관리함으로써 유연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쉽게 말하면 코딩에서의 '함수'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함수를 선언하고, 필요한 변수를 입력합니다. 입력한 변수를 토대로 작업을 수행하고 출력 변수를 반환합니다. 모.. 2023. 7. 24.
리눅스 시스템 관리 (사용자 및 그룹 관리, 프로세스 관리, 서비스 관리, 패키지 매니저) 리눅스 시스템 관리에는 크게 사용자 및 그룹 관리, 프로세스 관리와 모니터링, 서비스 관리 및 초기화 시스템, 그리고 패키지 관리자 사용에 대한 네 가지 주제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 네가지 개념에 대해서 간단하게 짚어보고, 관련된 기본적인 명령어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자 및 그룹 관리 리눅스에서 사용자 관리는 시스템의 보안과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사용자 계정을 통해 시스템에 액세스하는 각각의 사람이나 서비스에 권한을 부여하고 관리합니다. 그룹 관리는 여러 사용자가 공유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그룹은 특정 권한을 공유하는 사용자의 집합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및 그룹 관리 명령어 useradd, groupadd 새로운 사용자 계정, .. 2023. 7. 22.
[실습] 2. 테라폼을 이용해서 EC2 인스턴스 올려보기 (설치 방법 및 확인, 템플릿 작성, 적용) 테라폼(Terraform)은 HashiCorp에서 개발한 오픈 소스 도구로, 인프라스트럭처 코드를 사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를 안전하게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테라폼의 설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테라폼 설치 방법 및 확인 운영체제에 따라 테라폼을 설치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문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AWS Cloudshell에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WS Cloudshell을 처음 들어보는 분들을 위해서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AWS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경량형 리눅스 서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git clone https://github.com/tfutils/tfenv.git ~/.tfenv mkdir ~/bin ln -s ~/.tfenv/.. 2023. 7. 21.